독일유학/유학정보

독일 대학교 지원 입학 / 학생 비자 타임라인

스스니 2021. 3. 11. 22:12
728x90
반응형

*** 주,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한국 대학 4년제 졸업생으로 독일어를 배울 시간적 금전적 여유가 없어 영어 코스를 찾은 케이스. 시작 학기는 가을 기준

 

한국 대학 4년제 졸업생은 전공 상관없이 독일 대학에 지원할 수 있다. 수학 1도 모르는 내가 공대에 지원할 수 있는 것도 다 이 덕분이었다. 수학을 몰라도 합격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수업이 수학을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힘들었고 지금도 힘들다...^^

석사는 학사와 전공이 같아야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내가 졸업한 대학교가 독일에서도 인정될까?

더보기

anabin 아나빈

anabin is a database you can use to find out how your certificate will be evaluated in Germany. If you have completed university studies already, you may also use the database to find out if your university is recognised in Germany.

 

내가 한국에서 졸업한 대학교가 독일에서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위 링크에서 search 탭 누르고 

 

South Korea 인지 Republic of Korea 인지 둘다 확인해야 돼서 넘 짜증남...

국가 선택 후

 

지역 선택 후에 search term에 학교 이름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status: H+ 면 독일에서 대학으로 인정된다는 뜻이다.

 

 

나는 적지 않은 나이에 자금도 얼마 없었기에, 어학을 따로 준비할 수 없었다. 독일어 문법이 얼마나 복잡한 지는 이미 알고 있어서 독일어 어학연수는 빼박 1년+@ 각이라는 것을 눈 감고도 알 수 있었다. 1년 넘게 어떻게 언어만 공부할 수 있는지... 나는 아이엘츠 준비하는 3개월 조차도 너무 지옥 같았다.  어학연수하시는 분들 정말 존경스러움.

 

영어 코스를 선택했다면 토플이나 아이엘츠와 같은 공인 영어 성적표를 제출해야 하는데 나는 아이엘츠를 선택했다. 개인적으로 토플보다 아이엘츠가 훨씬 쉽다고 생각한다. 보통 학사는 아이엘츠 B2(5.5 - 6.5), 석사는 C1(7.0)이 커트라인이다. 내가 찾아본 대학 중에 어학 성적을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었는데, THI Engineering and management가 그러했다. 대신 1학기 2학기는 독일어로 진행되는 수업이 있을 수도 있고(???), 1학기 끝나고 나서 독일어 어학 시험 A1을 제출해야 한다. 영어 성적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어차피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니 영어로 공부할 수 있는 충분한 어학 능력이 있어야 학교생활이 덜 괴롭다. (아이엘츠 따도 힘듦...) 독일 교수님이 영어로 수업하시는 거라 1) 그분들의 악센트가 알아듣기 힘들 수 있고 2) 내가 전공 용어를 영어로 모름 + 교수님도 모르는 경우가 간혹 가다 있었다. 1학기에는 너무너무 힘들어서 사실 상 학업을 거의 포기하다시피 했었다.

나중에 A1 제출하야 함.

 

영어 코스지만 나중에 독일어 성적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알아봐야 한다. 4학기 전에 B2 독일어 자격증을 제출해야 한다는 것을 보고, 바로 이 학교는 지원 리스트에서 뺐다. 독일어 B2는 만만치 않습니다...

 

  

 

 

독일에서 영어로 공부하기

더보기

daad에서 인터내셔널 코스 찾기

 

나는 bachelor / English only / Engineering으로 선택한 후 

Tuition fees per semester: none 만 골라서 봤다. 지금 학교는 교통비, 학교 행정비 등 명목으로 학기당 300 EUR 정도를 낸다.

 

 

 

<학교 지원, 입학, 비자 타임라인>

*** 2020년 코시국, 독일에서 확진자가 몇백 명씩 속출했던 시절 ***

 

독일 대학 지원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내가 지원한 곳은 1) 우니아시스트를 통해 지원하는 곳, 우니아시스트에서 발급 받은 VPD 외 필수 서류를 2) 대학에 직접 제출하는 식이었다. 

 

2020년 3월

우니아시스트에 서류 보냄 for VPD

필요서류: 고등학교 졸업장(영문), 고등학교 내신 성적표(영문), 수능 성적표(영문), 대학교 성적표(영문), 대학교 졸업장(영문)

지원 기간을 고려해서 VPD를 생각보다 미리 지원했었다.

더보기

VPD(Preliminary examination documentation)는 우니아시스트에서 독일 성적 시스템에 맞게 내 성적을 산출한 증명서이다. 보통 VPD만 제출하는 곳은 기간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는 듯하고, 발급받은 VPD는 1년 간 유효하다. 우니아시스트를 통해 지원하는 학교는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이 학교별로 상이하니 잘 확인해야 한다. 내가 지원하는 학교를 선택하고 결제를 한다. 처음엔 75 EUR를 내야 하고, 다음부터는 몇 개를 지원하든지 30 EUR 씩 내면 된다. [MY APPLICATIONS]에 pdf로 서류를 먼저 업로드하고 나중에 원본을 우편을 보냈다. 

 

수능 성적표, 고등학교 졸업 증명서는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출력할 수 있다. (윈도우 컴퓨터로 접속하세요... 공인인증서...) 고등학교 내신 성적 증명서는 고등학교 행정실에 전화로 영문 버전을 문의 후 픽업했다. 대학교 졸업 증명서, 성적표는 교내 무인 발급기에서 장당 500원? 1,000원 주고 발급받았다.

근데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우니아시스트 홈페이지에 pdf로 업로드하는 게 끝이라고 들었다?

 

종이 닷 장에 오만 원이라뇨

내가 사는 곳도 예배드린 답시고 간 곳에서 코로나가 퍼져서 확진자 수가 점점 늘고 있다. 안일하게 있던 유럽은 이제야 휴교령을 내리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독일은 일단 4월 20일까지는 휴

sunylog.tistory.com

 

4월 3일

VPD 발급받음

더보기

우편으로 원본도 온다고 들었는데 나는 이메일만 왔다. 어차피 이메일로 온 파일 인쇄하면 되므로 우편으로 오는 건 크게 의미가 없다. 나는 대학 졸업생이라, 대학 졸업성적으로 산출된 것 같다. 내 대학 성적은 4.1 정도고 독일식으로 환산하니 1,4이 나왔다. 독일은 1점이 제일 높은 학점이다. VPD는 학교 별로 신청하기 때문에 같은 점수가 산출되더라도 학교별로 신청해야 한다. 

 

 

 

 

4월 중순

아이엘츠 IELTS 시험 봄

컴퓨터로 푸는 걸로 시험 봤다. 스피킹을 말아먹었다.

 

5월 초

아이엘츠 IELTS 성적 나옴

6.5점(B2) 받음. 대체로 학사는 B2, 석사는 C1(7.0 이상)을 요구한다. 

 

7월 중순

학교 포탈에 서류 업로드/제출

필수서류: 이력서(CV), Motivation letter, 수능 성적표, 고등학교 졸업 증명서, VPD, IELTS Certificate

추가 서류:대학교 졸업 증명서, 대학 성적표, 대학교 장학금 증명서, 고등학교 성적표, 경력 기술서 및 레퍼런스(reference), 자원봉사 인증서

영혼까지 끌어 모아 제출했었다. 이때 코로나 때문에 이메일 제출이었다. 학교 입학 후, 원본 제출해야 했음.

 

8월 중순

Admission letter 받음

enrollment form, 수능 성적표, 독일 공보험 증명서, 여권 사본, 학비 송금 증명서, (만약 있다면) 이전 학업 성적표를 우편으로 보내라고 함.

더보기

아직 독일에 가지도 않았는데 독일 공보험 증빙을 하라는 게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서 처음에 제출 안 했더니, 메일로 이거 제출 안 되었으니 이때까지 제출하라고 다시 제출할 기간을 주었다. 만약 학비를 냈다면 빠트린 서류가 있더라도 바로 내치지 않을 테니 안심하셔도 좋다. 지금 돌이켜 보면 아무것도 아닌데 그 당시에는 불안감에 휩싸여서 준비했었던... 공보험사 웹사이트/슈페어콘토 업체 등에 가입하고 메일로 보내주는 Versicherungsbescheinigung를 제출하면 된다.

 

9월 중순

Enrollment letter 받음

가장 피 말리는 기간이었다.

 

10월 중순

입독

필수서류: ok to board 이메일, 입학 증명서, on-site teaching letter

지금은 Covid PCR 결과도 필요하려나? 내가 올 땐, 한국이 위험 국가가 아니어서 코비드 검사가 필수가 아니었다.

 

10월 22일

안멜둥(Anmeldung/Registration)

필수서류: 여권

영국에서는 주소만 있으면 OK, 거주지 신고라고 할 게 없었는데 독일은 이게 필수임.

 

10월 30일

외국인청에서 레터 옴.

안멜둥할 때 외국인청에 보내는 서류를 작성해서 인지 친히 외국인청에서 테어민 잡아주심.

 

11월 초

TK 공보험 정식 가입/슈페어 콘토 오픈/독일 계좌 오픈

필요한 것: 증명사진, 입학 증명서, 거주지 증명서, 여권

 

11월 23일

외국인청 방문

제출서류: 6개월 미만 여권 사진, 여권, 입학 증명서, 공보험 증명서, 거주지 증명서, 슈페어 콘토, 현금 100유로

 

12월 28일

비자카드 픽업.

외국인청에서 레터가 오면 이메일로 테어민 잡아서 방문하면 된다.

 


이렇게 보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데 실제로는 답답한 상황의 연속이었다. 레터가 올 때까지 침착하게 기다리면 언젠가는 해결될 일이니 너무 조급하게 마음먹지 말고 차근차근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